직접 전기계량기를 검침한 뒤 전월 사용량을 빼 누진세 3구간을 피하고, 한전 전기요금 계산기에 대입해 한 달 전기요금을 예상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주택용 저압과 고압의 차이
주택용 전력에는 저압과 고압으로 나누게 된다.
고압은 주로 단지가 큰 아파트에 변전실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저압은 고압이 아닌 경우이다.
고압이 저압 전기보다 싸다.
전기요금 청구서에 기본요금이 910원, 1,600원, 7,300원이면 저압, 730원, 1,260원, 6,060원이면 주택용 고압이다.
주택용 저압
주택용전력(저압) |
기본요금(원) |
전력량요금(원/kWh) |
|
200kWh 이하 사용 |
910 |
93.3 |
|
201 ~ 400kWh |
1,600 |
187.9 |
|
400kWh 초과 |
7,300 |
280.6 |
주택용 저압 전기 요금
누진세 2구간은 201kWh부터 시작된다.
201kWh와 200kWh의 청구금액 차이는 3,620원이고, 누진세 3구간인 401kWh와 400kWh의 청구금액 차이는 5,710원이다.
필수사용공제란 한 달 전기사용량이 200kWh이하일 경우 전기 요금을 감액해 주는 것으로
주택용 저압은 월 최대 4,000원을 감액해 준다.
43kWh까지는 전기 청구 금액이 1,130원이고, 44kWh부터 전기 요금이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량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필수사용량 |
전기요금계 |
부가세 |
기반기금 |
청구금액 |
43 |
910 |
4,011 |
-3,921 |
1,000 |
100 |
30 |
1,130 |
44 |
910 |
4,105 |
-4,000 |
1,015 |
102 |
30 |
1,140 |
45 |
910 |
4,198 |
-4,000 |
1,108 |
111 |
40 |
1,250 |
198 |
910 |
18,473 |
-4,000 |
15,383 |
1,538 |
560 |
17,480 |
199 |
910 |
18,566 |
-4,000 |
15,476 |
1,548 |
570 |
17,590 |
200 |
910 |
18,660 |
-4,000 |
15,570 |
1,557 |
570 |
17,690 |
201 |
1,600 |
18,847 |
0 |
20,447 |
2,045 |
750 |
23,240 |
202 |
1,600 |
19,035 |
0 |
20,635 |
2,064 |
760 |
23,450 |
398 |
1,600 |
55,864 |
0 |
57,464 |
5,746 |
2,120 |
65,330 |
399 |
1,600 |
56,052 |
0 |
57,652 |
5,765 |
2,130 |
65,540 |
400 |
1,600 |
56,240 |
0 |
57,840 |
5,784 |
2,140 |
65,760 |
401 |
7,300 |
56,520 |
0 |
63,820 |
6,382 |
2,360 |
72,560 |
402 |
7,300 |
56,801 |
0 |
64,101 |
6,410 |
2,370 |
72,880 |
저압_주택용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표_필수사용량 적용.xls
180807 하계 할인 개편전후 전기요금표(저압).pdf
저압_주택용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표_필수사용량 적용.xls
주택용 고압
주택용전력(고압)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원/kWh) |
|
200kWh 이하 사용 |
730 |
78.3 |
|
201 ~ 400kWh |
1,260 |
147.3 |
|
400kWh 초과 |
6,060 |
215.6 |
주택용 고압 전기 요금
주택용 고압의 필수보장공제 최대 금액은 2,500원이다.
누진세 구간인 201kWh의 주택용 고압과 저압의 전기세 차이는 3,840원이고, 401kWh는 14,130원 차이가 난다.
사용량 |
기본요금 |
전력량요금 |
필수사용량 |
전기요금계 |
부가세 |
기반기금 |
청구금액 |
35 |
730 |
2,740 |
-2,470 |
1,000 |
100 |
30 |
1,130 |
36 |
730 |
2,818 |
-2,500 |
1,048 |
105 |
30 |
1,180 |
37 |
730 |
2,897 |
-2,500 |
1,127 |
113 |
40 |
1,280 |
198 |
730 |
15,503 |
-2,500 |
13,733 |
1,373 |
500 |
15,600 |
199 |
730 |
15,581 |
-2,500 |
13,811 |
1,381 |
510 |
15,700 |
200 |
730 |
15,660 |
-2,500 |
13,890 |
1,389 |
510 |
15,780 |
201 |
1,260 |
15,807 |
0 |
17,067 |
1,707 |
630 |
19,400 |
202 |
1,260 |
15,954 |
0 |
17,214 |
1,721 |
630 |
19,560 |
398 |
1,260 |
44,825 |
0 |
46,085 |
4,609 |
1,700 |
52,390 |
399 |
1,260 |
44,972 |
0 |
46,232 |
4,623 |
1,710 |
52,560 |
400 |
1,260 |
45,120 |
0 |
46,380 |
4,638 |
1,710 |
52,720 |
401 |
6,060 |
45,335 |
0 |
51,395 |
5,140 |
1,900 |
58,430 |
402 |
6,060 |
45,551 |
0 |
51,611 |
5,161 |
1,900 |
58,670 |
고압_주택용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표_필수사용량 적용.xls
180807 하계 할인 개편전후 전기요금표(고압).pdf
전기요금 계산하기
주택용전력(저압) | 기본요금(원) | 전력량요금(원/kWh) | |
200kWh 이하 사용 | 910 | 93.3 | |
201 ~ 400kWh | 1,600 | 187.9 | |
400kWh 초과 | 7,300 | 280.6 |
주택용 저압 전기 요금
이미지출처 사이버 한전
전기 요금 계산법
① 기본요금(원단위 미만 절사)
② 사용량요금(원단위 미만 절사)
③ 전기요금계 = ① + ② - 복지할인
④ 부가가치세(원단위 미만 4사5입) = ③ × 10%
⑤ 전력산업기반기금(10원 미만 절사) = ③ × 3.7%
⑥ 청구요금 합계(10원 미만 절사) = ③ + ④ + ⑤
평상시와 달리 여름이나 겨울철 냉난방기구를 사용할 경우 월평균 전기요금에서 에어컨 등의 전기제품을 추가해 예상 전기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한전 전기요금계산기의 사용제품 요금계산에서 월평균 전기요금을 입력하고, 에어컨 등의 소비전력과 하루 사용시간을 대입해 주면 월 예상 전기 사용량과 예상 전기요금을 보여준다.
그럼 1kWh = 1000Wh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에어컨 실외기의 소비전력이 2000W=2kW이고 하루에 4시간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2kW×4h=8kWh라는 값이 나오고, 한달 30일이면 240kWh의 결과가 나온다.(실제로 실외기 등은 희망온도에 도달하면 100% 가동을 하지 않기에 이보다 더 낮은 값이 나오게 된다.)
아무런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에어컨만 작동시켰지만 누진세 2구간이 되어 버린다.
나머지 전기 사용량의 총 합이 161kWh가 넘게 되면 누진세 3단계가 적용된 전기요금을 청구서에서 만날 수 있다.
또 에어컨에 kWh/월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에어컨소비전력×12시간×30일×0.6 = kWh/월을 계산 한 것이다.
즉 소비전력이 2000W인 에어컨이라면 2000W×12시간×30일×0.6 = 432kWh/월가 된다.
여기서 12시간은 하루 사용 시간, 0.6은 가동율이다.
비슷하게 한국에너지공단의 비용계산기를 이용해 월전력사용량을 선택하고 제품의 제조사, 모델명을 찾아서 예상 전기 요금을 계산할 수도 있다.
전기요금 할인
가장 기본적인 전기요금 할인인 한 달 전기사용량 200kWh이하일 때 필수사용공제 외의 전기요금 할인을 알아보자.
이미지출처 사이버 한전
2018/04/23 - [생활의 지혜/기타] - 전기요금 할인 받기(다가구, 3자녀, 출산, 공항소음지역)
계량기 직접 확인하기
한전 전기요금 청구서를 보면 사용기간과 검침일, 당월 수전지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검침일은 사용기간 +1일이고, 앞 달의 청구서이므로 당월 수전지침은 앞 달의 계량기에 찍힌 값이 된다.
7월 28일 계량기에서 확인한 값은 소수점 절사 21223이다.
사용한 날짜는 28일 - 16일 = 12일
16일부터 28일까지 사용한 전력량은 21223kWh - 21100kWh = 123kWh이다.(태양광 발전 무시함)
그럼
123kWh/12일이 되고
12를 나누면 1일 평균 전력사용량이 10.25kWh가 되고 한 달 31일 곱하면 약 318kWh의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위의 한전 요금계산기에 318kWh를 입력하면
전기를 더 사용한다고 생각해 +50kWh를 더해도 누진세 3구간인 400에 미치지 못해 3구간을 피할 수 있다.
(12일동안 123kWh를 사용했다면 한 달 31일동안 얼마를 사용할까?
순서대로 비례식을 적용하면
12일 : 123kWh = 31일 : 네모kWh
밖에 놈은 밖의 놈끼리 안에 있는 놈은 안에 있는 놈끼리 곱하면
12일 * 네모kWh = 123kWh * 31일
12*네모 * 일*kWh = 3813 * 일*kWh
12*네모 = 3813 따라서 네모는 약 318이 나온다.)
만약 스마트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어플을 통해서 실시간 전기 사용량, 요금 내역, 사용량이나 누진제 알림 설정으로 목표 전기량 사용 초과시 알림 기능 등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한전 파워플래너 서비스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한전 고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하면 된다.
참고로 한전은 2020년까지 전국에 무상으로 스마트계량기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파일출처 사이버 한전
2018/08/03 - [생활의 지혜/기타] - 타이머 콘센트(Timer outlet)로 대기전력 줄이기
'생활의 지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체크카드 할인혜택(18.08.01~ 19.01.13) (0) | 2018.08.03 |
---|---|
타이머 콘센트로 대기전력 줄여 전기요금 절약하기 (0) | 2018.08.03 |
하이패스차로 잘못 통과시 대처방법 (0) | 2018.08.02 |
세탁기 분해 청소 후 탈수 소음, 진동이 심할때 (0) | 2018.07.31 |
과태료, 범칙금, 벌금의 의미? (0) | 2018.07.26 |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신분증 분실신고 (0) | 2018.07.24 |
혈액형별 조합 아이는 무슨 형일까?(전 세계 비율) (2) | 2018.07.21 |
카카오맵으로 전국 무인민원발급기 위치 확인하기 (0) | 2018.07.20 |
2018년 초복, 중복, 말복은 언제?(복날 날짜 계산법) (6) | 2018.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