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수 체계와의 이해
수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인류의 역사가 진화함에 서로의 물건을 교환하고 거래 등을 하면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수는 물건의 개수를 세기 위한 자연수이다. 자연수에 음수를 포함해 정수의 개념이 되고, 정수의 나눗셈에서 유리수가 생겼다. 유리수와 무리수를 합해 실수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세상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상상의 수 혹은 가상의 수라고 해서 허수를 만들어 실수와 허수의 합을 복소수라고 말한다. 1. 자연수(Natural Number) 내츄럴 넘버의 뜻처럼 우리가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자연스러운 수이다. 자연수는 양의정수(1, 2, 3, 4, 5.....)또는 음이 아닌 정수(0 ,1, 2, 3, 4, 5.........)를 뜻한다. 보통 전자는 수론에서, 후자는 집합론에서 사용된다. ..
2012. 8. 24.
수학숙제 해주는 사이트 울프람알파
울프람알파 = http://www.wolframalpha.com/ 울프람알파는 슈퍼컴퓨터의 인공지능을 통해 연산작업을 직접 수행해 준다. 구글은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관련 답안들이 있을 듯한 사이트들을 수집해 중요순으로 나열하는 방식이라면, 울프람알파는 그 정보들을 재분석한 인공지능형 답변을 만들어서 보여준다. 간단하고 복잡한 수학계산은 물론이며 미분, 적분, 복소수, 미방(미분방정식), 삼각함수, definition(정의), 이진수변환, 행렬과 행렬식 등 공학용계산기를 넘어 수학의 거의 모든 계산을 해결해 주고 그래프까지 친절하게 그려준다. 또 날씨, 물리학, 천문학, 환율, 단위변환 등들도 알 수 있다. 그럼 간단히 지식검색을 해서 중고생들의 질문을 울프람알파에 대입해서 풀어보자. 1. 1²-2² +..
2012. 8. 19.